-
국내 패션업계 라이선스 관련워커홀릭인척 2016. 11. 24. 11:04
이거 왜 이렇게 어렵지
http://apparelnews.co.kr/main/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63640
http://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63664
2016년 11월 어패럴뉴스 기사
http://www.appnews.co.kr/print.php?tbl=paper_news&uid=17259&sbj=%C7%D8%BF%DC%20%B6%F3%C0%CC%BC%BE%BD%BA%20%BA%EA%B7%A3%B5%E5%20%C1%F8%C3%E2%20%B5%BF%C7%E2
2003년 1월 어패럴뉴스 기사
16년 국내 패션 라이선스 69개사 358개
[라이선스(로열티) 계약 형태]
1) 정액제
연간 기준 일정금액 지불 조건 계약으로 매출에 따른 추가비용 없음.
로열티 금액 의류>잡화
예: 구두 품목 하나로 연간 1억 원 가량 로열티 정액제 적용 사례 있다고 함 (이게 비싼건가?)
2) 정률제
미니멈로열티+매출엑에 따른 로열티
일반적으로 순매출액 기준 5~7%, 인지도에 따라 8~9% 까지.
얼마 전 해외 아웃도어 브랜드 잡기 과열 현상으로 10% 선까지 지불 사례 있음.
3) 병행
런칭 2차년까지 정률제, 이후 정액제 전환
또는 의류 정률, 잡화 정액 등 아이템별 적용
라이선스 or 상표권 매입
라이선스는 상표의 사용권, 즉 일종의 임차권 정도로 보면 되니
상표권을 매입하는 것이 더 권한을 확대하는 것인 듯 하다.
그러나 정확히 권한 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넴..
마스터라이선스 or 에이전시
패션업체가 직접 전개 or 라이선스 전문 에이전트를 통해 전개 차이인가..
마스터라이선스를 획득하면 다른 업체에 서브라이선스를 줄 수 있는 모양이다.
아마 에이전트가 마스터라이선스를 획득하고 패션업체에서 서브라이선스로 운영하는 방법,
최근 패션업체가 직접 마스터라이선스를 획득하는 방법인 것 같다.
+
http://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63680
2016년 11월 어패럴뉴스 기사
국내 지적재산권 = 저작권/신지식재산권/산업재산권
패션분야는 주로 산업재산권 (특허권/실용신안권/디자인권/상표권 등)
상표권= 전용사용권(독점), 통상사용권
'워커홀릭인척'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com (0) 2017.01.09 Tech (0) 2017.01.09 20161113-19 중국 출장 (0) 2016.11.20 광저우 도매시장 관련 (0) 2016.11.20 상해 치푸루 도매시장 관련 (0) 20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