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0718 workshop 내용하루하루기록 2013. 7. 19. 15:18
Introduction은 general→specific
Discussion은 specific→general (Results는 facts를, Discussion은 points를)
굳이 논문에서 각 부분의 중요성을 비교해보자면 Introduction>Discussion>LR>Results>Method
+ Abstract은 맨마지막에 가장 공들여서 쓸 것. 쉬운 단어로 누구나 이해하게끔.
[EndNote]
무료 다운로드 가능한 EndNote X7 적극 활용 lib.snu.ac.kr
cite while writing 가능. APA style 등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알아서 척척.
내가 인용하고 싶은 부분, 어떤 방식으로 인용할 것인지 같이 적어놓기.
논문들 grouping 가능. (unfiled에는 group이 정해지지 않은 논문)
pdf파일 같이 저장 가능. just drag & drop
[Corpus]
내가 쓰고자 하는 단어의 앞, 뒤에 쓰이는 단어 검색할 수 있음.
앞 or 뒤, 품사, 분야 등 지정 가능.
americancorpus.org
antlab.sci.waseda.ac.jp/antconc_index.html (내가 가진 text 파일 내)
+ 연구분야의 논문에서 유용한 표현 모아놓기 (no more than 5 words)
[그 외]
+ make a SPECIFIC To do list
e.g.) 'work on thesis' (x) / 'read method part of Han (2013)' (o)
+ 컴퓨터 켜면 논문부터 열어서 보기.
+ 내 연구에 대한 pride 갖기.
---
20130718 (목) 오후 2시~4시 서울대학교 두산인문관 연강홀 (8동 101호)
광운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신정아 교수님이 진행하신 workshop 내용 중 일부를 개인적으로 참고하고자 정리한 것임.
http://cep.snu.ac.kr/cepwc/index.html
'하루하루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 2013.09.28 - (0) 2013.08.08 UMF Korea 2013 (0) 2013.06.16 게으름 (1) 2013.06.09 어메이징한 팟캐스트. (0) 201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