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04-21 전략적 의사결정 기법 (카이스트 김태현 교수)워커홀릭인척 2017. 6. 22. 10:51
전략적 의사결정 기법
일시: 2017.04.21 10:00~12:00
연사: 카이스트 김태현 교수
요약: 똑똑한 사람도 의사결정 오류에 빠진다. 왜일까?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의사 결정 유형
확실
리스크: 확률적인 문제로 계산에 의한 의사결정 가능
불확실: 확률 계산 어렵고, 심리적 영향 받기 쉬움 (예: 중국 시장에 진출할 것인가?)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bias
Availability bias (예: 연말 평가 시 연말에 잘한 사람이 평가를 좋게 받는 등 가까운 경험이 더 영향력 발휘)
Presumed association bias (예: 키와 대통령 당선 간의 correlation,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작은 샘플에 근거한 결론 조심
Anchoring bias (예: 동대문에서 흥정할 때 처음 가격에 의해 다음 흥정 가격이 결정)
Confirmation trap bias (예: 프리챌 유료화, LG 스마트폰 투자 시기 결정 등 맥킨지 컨설팅. 내부에서 원하는 답을 서포트하는 정보를 수집)
>> 반증 사례를disconfirming evidence 찾는 것이 중요 (예: 군병원에 4성 장군이 방문, 팔 다리에 총을 맞은 군인이 많은 것을 보고 팔 다리 보호 부품 강화. 반증 사례: 몸에 총 맞은 사람은 죽어서 병원에 안 보이는 것)
Adam Galinsky의 연구 (With power comes a selfish point of view)
실험 대상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자신이 높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도록 하고, 한 그룹은 자신이 낮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도록 함 (예: CEO급 vs. 신입사원).
이마에 E를 쓰라고 했을 때 high power는 자신이 보기에 E, low power는 남들이 보기에 E가 똑바로 보이도록 적음
power를 가질수록 자신의 관점에 매몰될 위험이 있음
Brian Uzzi의 연구
정보의 양이 많아진다고 해서 의사결정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님. confidence만 높아짐. (유사 논문: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714.9947&rep=rep1&type=pdf)
Carter Racing by Jack Brittain & Sim Sitkin
챌린저 호 추락 사건 각색하여 만든 의사결정 test
confirming data에 속지 말 것.
'워커홀릭인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회사 생활 - 11번가 MD (5) 2018.09.30 SK플래닛 11번가 분사 (0) 2018.09.05 2017.04.07 Naver X AI colloquium (0) 2017.06.15 2017.02.21 7th Business Impact & Big Data 2017 (0) 2017.06.15 2017.06.14 All things Data Conference 2017 (0) 2017.06.15